티스토리 뷰
나의 어렸을 적을 되돌아 보면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은 걸로 기억한다. 반면에 엄마는 그런 나를 다양한 도전의 상황 속에 노출시켰다. 수영, 수채화, 피아노 등 항상 새로운 것에 도전하라고 다양한 학원에 나를 보냈다. 나는 그때마다 항상 엄마에게 거부감을 드러냈다.
"싫어, 안 갈거야!". 그럼 엄마는 항상 나에게 같은 말을 했다.
"막상 가면 잘 할거면서, 쟤는 맨날 가기 전에 싫다고 하더라"
나는 새로운 것에 도전한다는 것 자체가 두려웠다. 하지만 '처음 시작이 힘들지, 두번째 부터는 괜찮다'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. 엄마의 등쌀에 떠밀려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고 나면 나는 그것을 즐겼다.
엄마의 도움 덕분이었을까? 현재는 도전하는 것을 즐기는 것 같다. 물론 새로운 시작을 하기 전에 두려움과 걱정을 하기는 한다.
대개는 내가 이 도전을 하면서 잃게 되는 시간, 돈, 다른 도전을 할 수 있는 기회 등의 부정적인 부분을 걱정한다. 하지만 지난 20여년 간 경험을 통해, 도전 후에 얻는 경험과 느낌이 얼마나 나에게 의미가 있고 흥미로운 일로 다가올지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걱정을 접고 시도한다.
내가 이 생각을 갖기 전에는 걱정만 하다가 기회를 날린 적도 있었다.
다들 알다시피 후회라는 것이 일단 시작해서 경험해본 후에는 길게 남지 않는다. 하지만 시도 조차 해보지 못하고 포기할 경우에는 길게 남는다. 나 또한 걱정만 하다가 기회를 날린 것에 후회를 하고 있기 때문에 경험주의자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.
걱정만 한다고 나아지는 경우는 없다. 적어도 내 경험으로는.
걱정을 하기 보다 우선 시도해보자. 시도한 후에 계획을 세워도 늦지 않다. 눈 앞의 기회를 놓치지 말자.
도전한 후에 하는 후회는 경험으로 남아 앞으로의 선택에서 좋은 영향을 끼치지만,
도전 조차 못해서 하는 후회는 미련으로만 남을 뿐이다.
더 넓은 곳으로, 더 높은 곳으로, 더 많은 경험을 해보자
Excelsior.
'전지적 공대생 시점 > 단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상경(上京)하다 (0) | 2018.04.10 |
---|---|
회식 (0) | 2018.02.21 |
계약만료, 퇴사하기 (0) | 2018.02.09 |
모든 일에 최선을 다할 필요는 없다 (0) | 2018.02.06 |
감정을 표현하는 방법 (0) | 2018.01.03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김진명
- 퇴사
- 장편소설
- 서류 광탈
- 자소서
- 미래에 대한 불안감
- 감정
- 표현
- 기간제베프
- 독서
- 독서기록
- 크로스핏
- The sun and her flowers
- 아침운동
- 다이어트
- 계획
- 연애
- 시작
- 불안감
- 단상
- rupi kaur
- 대기업
- 공대생
- 후회
- 공백기
- 작가
- 타이탄의 도구들
- 이별
- 꿈
-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