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180603 16:26
보통, 사람들은 연인으로부터 사랑의 표현을 많이 받길 원한다.
나 또한 그러하다.
하지만 인간의 간사함을 보여주듯,
상대방으로부터 표현을 많이 받다보면 내성이 생기곤한다.
아무리 내가 좋아하는 음식이라도, 매일 먹으면 아예 질려서 먹기 싫어지는 것 처럼.
처음 받았던 그 표현의 감동은, 반복되다 보면 어느새 감동은 잊혀지고 무뎌져간다.
조금 더 자세히 말해보면,
처음 연애를 시작했을 때, 상대방이 나에게 말한 '사랑해'라는 표현은 달콤하다. 가슴에 벅차오른다.
하지만 연애가 지속되다보면, '사랑해'라는 표현은 어느샌가 '밥먹었어?', '잘자' 처럼 일상이 되어 버리고,
그 끝에는 의미없는 단어로 전락해버리곤 한다.
그 표현 자체에 감사해야 마땅한데, 하루에 한 번 이상 '사랑해'라는 말을 안하면 서운해버리곤 한다.
하지만 신기하게도,
표현을 안하던 사람에게, 예상치 못한 순간에, 표현을 받게 되면 그 때는 굉장한 감동으로 다가온다.
그리고 그 표현의 무게 또한 더 무겁게 다가온다. 진심이라고 받아들이게 된다.
인간의 간사함인가?
왜 인간은 비슷한 정도의 감정, 표현에는 무덤덤해지고 당연시하는 것일까?
몇 번의 연애를 거치면서 이런 점을 깨달았고,
'사랑해'라는 말의 무거움을 유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.
기침처럼 나오는 '사랑해'라는 말보다, 정말 내가 고마움을 느끼고 사랑을 느낄 때, 그 말의 무게를 실어서 말하려고 한다.
그도 나와 비슷한 생각이길.
'전지적 공대생 시점 > 단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81111 오랜만에 써보는 글 (0) | 2018.11.11 |
---|---|
이어폰 (0) | 2018.07.06 |
오늘도 무사히 (0) | 2018.05.31 |
표현의 중요성 (0) | 2018.05.22 |
비교 (0) | 2018.05.21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퇴사
- 꿈
- 표현
- rupi kaur
- 미래에 대한 불안감
- 기간제베프
- 연애
- 서류 광탈
-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
- 독서기록
- 독서
- 작가
- 다이어트
- 공대생
- 감정
- 이별
- 공백기
- 후회
- 장편소설
- 타이탄의 도구들
- 계획
- 불안감
- 크로스핏
- 단상
- 아침운동
- The sun and her flowers
- 김진명
- 자소서
- 대기업
- 시작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아카이브